It is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Leeum Museum not to publish the provenance of its collection.
소장경위 비공개
Map Of Museums
Why this is a Masterpiece
The gold crown is composed of two parts: upright standards and a floral-shaped diadem which resembles those of Silla crowns. The four standards are distinctively of a Gaya Kingdom style. They are plant-shaped with three pairs of right-angled branches curving downward and are topped with jewel-shaped finials, as opposed to those of Silla crowns, which are trident-shaped in the front and antler-shaped in the back. The diadem measures 3.6 cm in width and is bordered by bands of punched dots containing a diamond motif, with circular gold plates and jade pendants hanging from tiny hooks. As the pendants have been restored, their current positions can only be assumed to be correct. The surfaces of the four standards are decorated with a similar dot motif. It is designated as Korean National Treasure No. 138.
대가야에서 사용되었던 금관으로, 대륜(臺輪)과 입식(立飾)으로 구성되었는데, 입식이 초화형(草花形)으로 되어 있어 신라금관과 큰 차이가 있다. 대륜은 폭이 3.6cm이며 상하에 각각 점열문(點列文)과 점열격자문(點列格子文)이 타출되었고 드문드문 금줄로 엮은 영락(瓔珞)이 달려 있다. 현재 일정한 간격으로 곡옥(曲玉)이 달려 있으나, 그 위치는 추정하여 복원한 것이다. 입식은 동일한 형태가 사방에 세워져 있는데 끝은 보주형(寶珠形)이고, 입식 양측에는 좌우 대칭으로 갈고리모양의 가지가 3단으로 늘어져 있다. 여기에도 대륜과 동일한 문양대가 타출되었고 영락장식이 달려 있다.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이 금관에 부착된 것으로 추정되는 펜촉모양과 단추모양의 장식용 금구(金具)들이 상당량 전하고 있다. 이 작품은 국보 138호로 지정되어 있다.
History of the Object
As one of only two extant crowns from the Great Gaya Kingdom, this crown and the numerous gold pieces, which most likely served as ornaments, are an invaluable source of study of a culture which still remains much of a mystery to modern scholars. Unfortunately, the exact circumstances of the discovery of this important crown are unknown, thus its original appearance can only be assumed.
현재까지 알려진 가야시대의 금관으로는 일본의 오쿠라[小倉] 콜렉션에 소장된 것과 더불어 두 개의 예에 불과하다. 특히 이런 형태의 가야금관은 유일한 것으로, 아직도 신비에 싸여 있는 가야문화를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귀중한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