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th Century;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Joseon Period
18세기; 18세기 후반; 조선시대
Function
appreciation
감상용
Acquisition
It is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Leeum Museum not to publish the provenance of its collection.
소장경위 비공개
Map Of Museums
Why this is a Masterpiece
The ten symbols are the sun, clouds, mountains, rocks, water, cranes, deer, turtles, pine trees, and the legendary mushroom of eternal youth. Besides these, this magnificent picture also depicts the peaches of immortality and bamboo. It is representative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십장생(十長生)이란 해, 구름, 산, 바위, 물, 학, 사슴, 거북, 소나무, 불로초 등 예로부터 오래 산다고 믿어 왔던 소재 열 가지를 한데 모아 불로장생의 상징물로 삼은 것이다. 이 작품은 환상적인 이상향 속에 조화롭게 자리잡고 있는 십장생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으로, 십장생 외에도 천도(天桃)와 대나무가 함께 등장하고 있다. 화면에 나타난 모든 동물들은 각기 다른 포즈를 취하면서도 자연 속에 묻혀 한가로운 자태를 드러내고 있다. 화면 상단에 떠 있는 붉은 해와 화면 여기저기에 그려져 있는 불로초의 붉은색은 전체적으로 청록풍의 작품에 액센트를 주고 있다. 크기가 대형일 뿐 아니라, 구도와 필법이 탁월하고 진채(眞彩) 또한 호화스러워, 궁궐이나 상류층에서 사용했던 세화(歲畵)의 대표작으로 추정되고 있다. 십장생도 중 대표작품이다.
History of the Object
The ten longevity symbols, expressing the universal wish of man to lead a long and happy life, were widely applied to Korean folk arts and handicrafts. This ten-panel standing screen, belonging to a luxurious category of folk painting in terms of size, brush technique, and color scheme, is assumed to have been produced for use in the New Year’s celebrations of royalty or aristocrat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while the king and his courtiers exchanged pictures of these auspicious symbols at the beginning of each new year, such folding screens were placed behind the seat of the queen during court ceremonies. Commoners used the screens for sixtieth birthday celebrations.
십장생은 모든 인간의 공통된 염원을 담고 있는 만큼 도자기, 자수, 목공예품 등의 장식문양으로 즐겨 사용되었다. 특히 십장생의 모티프는 회화에 많이 나타나는데, 기록에 의하면 정초에 왕이 신하들에게 새해 선물로 하사하거나, 신하들이 왕에게 그림을 진상할 때에 많이 그려졌다고 한다. 또한 궁중 행사시에는 왕비의 자리 뒤편에 십장생 병풍이 놓였으며, 회갑연 등에 장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